NWS TRUSS
미성이앤씨 무용접트러스를 소개합니다

기존 용접트러스 시스템 시공 공정
자재 입고 > 수직재 설치 > 수형재 설치 > 가용접 > FULL 용접 > 이물질 제거 > 녹 방지 처리 > 시공완료
일반적인 하지 철물 시공 공법은 원자재가 현장에서 주어진 상태에서 진행되며 수직재 , 수평재를 재단하고 용접하여 고정한 후 용접면의 녹 방지를 처리하여 마감하는 형태로서 제한된 환경에서 모든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속도가 늦어지며 많은 장비를 현장 내에서 준비하여야 합니다
또한 고정을 위한 용접 작업이 현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화기 감시자 인원을 필요로 합니다.
미성이앤씨 NWS TRUSS 시공 공정
무용접트러스
자재 입고 > UNIT 체결 , 앙카 작업 > UNIT 사이 세로 연결대 체결 > 시공 완료
NWS 타입의 시공 공정은 현장 인원의 업무의 일부를 쾌적한 공장에서 전담하여 진행되기 때문에 생산성과 정밀성 높은 UNIT 를 현장에 반입 후 ANCHOR 볼트 작업을 통해 고정 시키며 UNIT 사이의 세로 연결대를 BOLT를 통해 체결함으로서 간단한 공구로 시공이 가능하며 현장의 상주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에 경제적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


시공별 차이 알아보기
기존 용접트러스의 시스템 시공 공정과 무용접 트러스의 시공 공정을 비교하여 알려드립니다

구조용강관
[용접트러스] 계단난간대
구조용 각관 구매 사용
[무용접트러스] 성형 가공 트러스
볼트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성형가공
롤 포밍 트러스로서 구조적 안정성 확보
부 품
[용접트러스] 직접 용접 방식
부품은 철물 공사 업체에서 구입 사용
구조용 강관에 직접 용접하므로 연결이 단순함
[무용접트러스] 금형 대량생산
프레스 자동 금형으로 대량생산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표준화된 제품공급
재료비
[용접트러스] 용접 두께 고려
용접하기 위한 최소 두께 2.3mm (T)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하므로 재료비 상승 요인이 됨
[무용접트러스] OEM 생산
대리점을 거치지 않고 직접강관을 생산하여 비료절감 롤 포밍 성형가공으로 두께는 줄여1.4mm (T) – 1.6mm (T) 로 생산되므로 원재료량의 80% 절감됨
설 계
[용접트러스] 원자재 반입
현장에서 원자재 , 부자재 조립 없이 반입
현장에서 상주 하여 대응 설계 현장 내에서 설계자가 없으므로 현장 책임자가 설계자
[무용접트러스] 생산 설계
원 도면에 따른 마감 업체와 마감 시공 방법에 대한 협의를 통해 수정 및 변경을 최소화(시공을 전제로 엔지니어링 제안)
공장 제작
[용접트러스] 직접 용접 방식
브라켓 설치와 동시에 파이프 용접 시공 하므로 안전요원 및 추가 인건비 및 위험요소 발생
[무용접트러스] 직접 용접 방식
현장가공을 최소화하기 위한 UNIT 제작 ( 트러스에 브라켓을 붙여 모듈 형태로 제작 ) 시공 현장에 팔렛트로 입고됨
현장 시공
[용접트러스] 현장 맞춤 가공
현장에서 맞춤 가공 한정된 환경에서 직접 컷팅하고 조립하므로 공정률이 떨어지며 자재 로스률이 많아짐 타 공정의 연계가 이어지지 않음
[무용접트러스] UNIT 시공
모듈식 UNIT 시공으로 양중 후 볼트 체결로
마감되므로 단순 공정으로 빠른 시공 가능
안 전
[용접트러스] 화재 및 미숙으로 사고
용접 중 불씨로 인해 화재 위험 화기 감시자 추가 고용 필요 견고한 구조를 위해 FULL 용접 시행 필요 표면 처리를 위한 이물질 제거 및 녹 방지 처리 필요
[무용접트러스] 무용접시공
조립식 시공 공법으로서 화재로부터 차단됨
전문 장비 불필요하며 누구나 시공 가능함
볼트 체결식으로 녹 방지 처리 불필요
